유통기한 소비기한 알아보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통기한 소비기한 알아보기

by 요리광 2022. 12. 5.
728x90



오늘은 식품에서 흔히 알고 있는 유통기한과 실제 섭취할 수 있는 소비기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식품군별 실제 소비기한까지 확인하고 아깝게 음식이 버려지는 일이 없도록 해보겠습니다.

유통기한이란?

식품 주로 식품 따위의 상품이 시중에 유통될 수 있는 기한(표준국어대사전)
즉, '판매'가 허용되는 기간

소비기한이란?

식품을 섭취해도 건강이나 안전에 이상이 없을 것이라고 인정되는 소비 최종 기한(우리말샘)
단, 소비기한까지 섭취할 수 있는 기준은 미개봉 상품을 보관 방 밥에 따라 올바르게 제품을 보관하였을 때 기준이므로 무조건 섭취해서는 안된다는 점 주의해주세요.

식약처에서 제공한 식품별 소비기한



위에 정보는 우리가 별도로 알고 있던 식약처의 소비기한 자료였는데요, 2023년부터는 소비기한 표시제도가 시행될 예정이며 유통되는 제품들의 소비기한 기준은 아래와 같이 변경된다고 합니다.



2023년부터 바뀌는 소비기한 <자료출처 : 식품의약품 안전처>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제공한 2023 소비기한 표시 안내서-1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제공한 2023 소비기한 표시 안내서-2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제공한 2023 소비기한 표시 안내서-3
식품의약품 안전처에서 제공한 2023 소비기한 표시 안내서-4



위와 같이 소비기한 표시 제도 시행을 앞두고 식약처에서 품목별로 소비기한 설정 실험을 수행하여 결과에 따라 잠정 소비기한을 정해주었습니다. 이는 소비기한 설정실험을 자체적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영업자들을 위해 참고 값을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서를 마련한 것이라고 합니다.

소비기한 설정 실험의 기준은 제품의 수소이온 농도, 보관 온도, 수분 활성 도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하여 산출해낸 기간이며 영업자 및 업체들은 이 참고 값보다 짧게 소비기한을 정해야 됩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소비기한 표시제를 안정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식품유형별 제품의 특성, 유통·소비 실정에 맞는 안전계수 산정방법, 소비기한 참고 값을 지속적으로 확대·제공" 하여 "영업자 스스로 안전한 소비기한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2023년부터 표기되는 소비기한, 혹시라도 이미 알고 있던 소비기한과 헷갈려 추가로 더해서 생각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세요!
그리고 음식들은 특징에 따라 냉장고에 위치 선정을 잘하여 온도 유지에 힘쓴다면 음식물쓰레기 줄이는 것뿐 아니라 마트나 장을 보는 비용도 줄어들게 되니 모두 열심히 관리해보도록 해요.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