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요리 레시피들을 보다 보면 맛술, 미림, 미향 등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어서 미림이 없는 경우 미향이나 맛술을 따로 사야 하는 건가? 뭐가 다른 걸까? 고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3개 차이점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리려 합니다.

총정리
먼저 미림이란 '소주·찐 찹쌀·누룩을 섞어서 빚은 다음
그 재강(술을 거르고 남는 찌꺼기)을 짜낸,
맛이 단 일본 술'을 말합니다.
청주와 비슷한 용도로 육류의 잡내를 제거 및 다양한 조미료나
요리 부재료로 사용하는 술이며
미림(味醂)의 한자를 직역하면 맛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미림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미림은 롯데에서 미림이라는 단어를 상표명으로 사용한 제품입니다.
알코올이 14%로 요리 용술로 나온 제품들 중 가장 높습니다.
도수가 높은 만큼 알코올이 날아가면서
잡내 제거에 탁월하고 고기의 연육 작용 등 효과가 가장 좋습니다.
식초가 가미된 미향이나 맛술처럼 시큼한 맛은 거의 없기 때문에
국물용 보다는 잡내 제거와 고기를 부드럽게 하거나 생선을 단단하게 해 줄 때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리며
알코올이 높아 아무리 성분이 날아가더라도
미성년자나 임산부 등 음식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미향
미향도 요리 용술 중 하나 즉 미림(맛술) 종류 중 하나로
오뚝이에서 내놓은 상표입니다.
알코올 도수가 미림보다 현저히 낮고
한국인의 입맛에 맞게 만들어낸 요리용 술로
식초가 가미되어 있어서
생선이 들어간 탕요리나 국 요리 등에
감칠맛을 내는 용도로 사용하기 좋습니다.
또한 미림보다 알코올이 낮지만 동일한 작용을 하므로
알코올이 낮은 맛술을 사용하거나
미림보다 단맛까지 가미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맛술
CJ나 청정원 등 여러 곳에서 낸 이름이며
식초에 생강 혹은 로즈메리 등 다른 향이 첨가되어 있어서
향을 가미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은 미림(맛술)중 하나입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시큼하고 단맛이 강하다고 느껴져서
맛술보다는 미향이나 미림을 사용하는 편이지만
알코올 도수가 가장 낮으므로
쉽게 사용하기에는 가장 좋습니다
최종 정리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모두 다 맛술의 한 종류로
같은 용도로 쓰이는 요리 용술, 소스의 하나로 보면 됩니다.
개인적으로는 국물이 없는 육류에 사용할 때는 미림을,
국물이 살짝 가미된 육류나 생선탕, 국에는 미향을
시큼 한과 단맛을 내는 소스 및 잡내 제거를 원할 때는 맛술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